반응형

23일 평창 동계 올림픽 여자 컬링 대표팀의 준결승 경기 때문에 아니였죠. 준결승였기도 하고 한일전이라 더더욱 관심과 이목이 집중되는 경기였습니다. 그래서 시청률도 40%가 넘을정도로 열기가 대단했습니다.


대한민국 여자 컬링 대표팀 선수들도 굉장히 이슈가 되고 있었지만 일본 여자 컬링 대표팀 선수들 역시 이슈가 되고 있습니다.


준결승 경기를 보셨으면 느꼈겠지만 일본 대표팀 또한 실력이 대단하다고 느껴졌습니다. 실력뿐만아니라 외모, 몸매 모두 다 가지고 있었기에 계속해서 이슈가 되고 있네요


그 중에 진정한 베이글, 귀여운 얼굴과 다르게 글래머러스한 몸매를 가지고 있는 요시다 치나미(Chinami YOSHIDA) 선수.



사진을 찾다보면 동일 인물인가 할정도로 다른 모습의 사진들도 있습니다. 놀라지 마세요

다이어트를 성공해 지금처럼 아름다운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고 하더군요



집중하는 모습이 귀여움을 담고 있네요^^




요시다 치나미(よしだちなみ | 吉田知那美 | Yoshida Chinami)


[프포필]


  출생 1991년 7월 26일, 일본

  신체 156cm

  기타 사자자리, 양띠



[경력사항]


  2018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 일본 컬링 국가대표

  2017 제8회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 일본 컬링 국가대표

  2014 제22회 소치 동계올림픽 일본 컬링 국가대표



[수상내역]


  2018 제23회 평창 동계올림픽 컬링 여자 동메달

  2017 아시아태평양 컬링선수권대회 여자부 은메달

  2017 제8회 삿포로 동계 아시안게임 컬링 여자부 동메달

  2016 아시아태평양 컬링선수권대회 여자부 동메달

  2016 세계컬링선수권대회 은메달

  2015 아시아태평양 컬링선수권대회 여자부 금메달



[공식 프로필]

  

 별명

 Chi, China, Chi-tan 

 취미

 여행 

 직업

 회사원 

 사용 언어

 일본어, 영어

 클럽 이름

 Loco Solare Kitami [Japan]

 포지션 스타일

 Thrid

 가족

 여동생 Yurika YOSHIDA 일본 여자 컬링 대표팀

 시작

 7살

 계기

 어머니의 영향을 받아서 시작

 추가 정보

 2010년 1년 간 캐나다로 영어와 컬링 유학




      



사진들에서 웃는 모습이 참 많습니다.

그리고 이쁩니다~~




요염 맛보기



대놓고 요염 요염^^




요시다 치나미 선수 인스타 그램

반응형
반응형

드디어 평창 동계 올림픽이 열렸고 이제 막을 내리려고 합니다. 많은 선수들이 좋은 경기와 모습을 보여줬지만 아쉬운 사건들도 있었지요 또한 낯선 경기들로 인해 규칙을 몰라 재미와 흥미가 반감되는 종목들도 있어서 아쉬움이 있었을 겁니다.

 


 

그 중에서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 종류와 특히 매스스타트라는 새로운 종목에 대해서 설명하려고 합니다. 스피드 스케이팅의 종목은 500m, 1,000m, 1,500m, 5,000m, 10,000m, 팀추월, 매스스타트 경기로 남자, 여자 동일하게 7종목으로 총 14개의 가장 많은 금메달이 걸려있는 종목입니다.


 


 

이 중에서 팀추월 경기는 2006년 토리노 동계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는 개인 종목인 스피드 스케이팅에서 유일하게 팀으로 승부를 겨루는 단체전 종목입니다. 경기 방식은 3명의 팀으로 구성되어 두 팀이 링크 중앙에서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출발합니다. 남자는 8바퀴, 여자는 6바퀴를 돌고 3명 중 가장 뒤에 있는 선수의 기록으로 기록 됩니다.




 

이미 대한민국 남자 선수들은 2014년 소치 동계 올림픽에서 이승훈 선수, 주형준 선수, 김철미 선수가 은메달을 따냈습니다. 그런데 이번 2018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도 이승훈 선수, 김민석 선수, 정재원 선수가 은메달 따냈습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그리고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에서 매스스타트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 되었습니다. 그래서 경기를 봤을 때 갑자기 점수를 따기도 하고 어떤 선수들은 느긋하게 스케이팅을 하는 모습을 보여서 경기 방식이 굉장히 궁금했습니다.

 




매스스타트 경기방식은 12~ 18명의 선수들이 동시에 레이스를 펼치는 방식으로 IN 코스와 OUT 코스만을 사용했던 다른 종목과 달리 IN, OUT, 웜업레인까지 포함하여 경기가 진행됩니다.

 

16바퀴를 돌게 되며 4바퀴, 8바퀴, 12바퀴째에는 1, 2, 3위 순위에 따라 5, 3, 1점으로 점수를 획득하게 됩니다. 하지만 마지막 16바퀴째에는 1위에게 60, 2위에게 40, 3위에게 20점이 부여되기 때문에 마지막이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의문이 생길 수 있는데요 그럼 마지막 바퀴에서만 잘하면 메달을 딸 수 있는가인데요 정답은 "맞다"입니다.

가령 최종 2위 선수가 4바퀴, 8바퀴, 12바퀴에서 1위로 통과했을 경우에도 55점으로 마지막 바퀴 1위 선수에게 부여되는 60점을 넘을 수가 없게 됩니다. 




마지막으로 매스스타트 경기 방식에 쇼트트랙 규칙이 적용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다른 선수들의 진로를 방해하거나 선두 선수에게 한 바퀴를 추월 당하게 되면 실격이 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매스스타트 종목의 최초 금메달리스트는 세계랭킹 1위 대한민국의 이승훈 선수가 기록하게 되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윈도우를 새롭게 설치하게 되면서 시스템 드라이브는 대개 C 드라이브로 지정 된다. 윈도우 설치가 끝나고 C 드라이브로 들어가면 window폴더와 windows.old라는 폴더를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게 무슨 폴더고 필요한 폴더인지 알아보자.




 

# windows.old 폴더는 왜 생기는가?



프리도스나 맨 처음에 윈도우를 설치하면 windows.old라는 폴더를 본 적이 없을 겁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윈도우 포맷을 하거나 윈도우 7에서 윈도우 10 등으로 업그레이드를 한 경우에 설치가 끝난 후에 windows.old 폴더가 생성되었음을 알 수 있다.

 

( )

 

그런데 포맷했을 당시 포맷 화면을 생각해보면 설치가 시작되기 전에 windows.old 폴더 생성에 관한 알림창이 한 번 뜨게 돼있다. 아마 기억이 나지 않는다면 또 다시 포맷하게 될 경우에 유심히 살펴보기 바란다.

 


# windows.old 폴더는 지워도 상관없는 폴더인가?


 

이 질문에 대답은 YES라고 할 수 있다. 지금 윈도우를 사용하면서 필요한 파일들이 있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만약 이전의 윈도우 상태로 돌아가기를 원한다면 필요하게 될 수도 있다. 그렇지만 나 또한 수 없이 포맷을 해본 경험이 있지만 그런 적은 단 한 번도 없었다.

 


# 필요도 없는 windows.old 폴더는 어떻게 지우는가?


 

그렇다. windows.old 폴더는 그냥 지울 수 없기 때문에 지금과 같은 방법을 소개하는 것이다. 우선 windows.old 폴더는 은근히 많은 용량을 차지하고 있다. 그래서 디스크 정리등을 할 때 깜짝 놀랄 수도 있다.

 

1. 내 PC 로컬 디스크 (C:)의 속성을 클릭 한다

 




또는 바탕화면 작업표시줄에 찾기 버튼을 클릭하고 디스크 정리를 검색한다.




 

2. 속성창이 나오면 디스크 정리를 클릭해 준다.

 



 

3. 시스템 파일 정리를 클릭한다.

 



 

( )

 

4. 스크롤을 내리면 이전 Windows 설치라는 항목과 함께 windows.old 폴더의 크기가 함께 나온다.

 



 

놀랍게도 272GB를 차지하고 있어서 폴더를 확인해 본 결과 windows.old 폴더가 4개나 있었다.

 



 

5. 이전 Windows 설치 항목을 선택하고 확인을 클릭하면 파일 삭제에 대한 확인을 다시 한다. 파일 삭제를 클릭한다.

 




6. 디스크 정리를 시작 한다.





저 같은 경우는 윈도우 7을 꾸준히 사용하면서 몇 번의 포맷을 했었고 최근에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 하면서 2번을 포맷을 했었기 때문인지 폴더가 4개나 있었고 용량이 272GB가 여서 폴더를 뒤적여보기까지 했다.

 

( )

 

폴더 안에는 별다르거나 특이한 점은 못 봤고 다운로드 폴더에 파일들이 남아 있는 등의 상태였다. 아무리 뒤적여도 필요한 파일은 나오지 않았다. 그래서 그냥 windows.old 폴더는 지워버려도 아무 문제가 없어 보인다.

 

이 포스팅을 보면 뒤도 보지 말고 포스팅을 따라서 windows.old 폴더를 지워보길 바란다.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