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독도는 누가 뭐라해도 대한민국 영토라는걸 아실 겁니다. 하지만 독도가 언제부터 우리땅이였는지 현재 독도는 어디에 있는지 어떤 모습인지는 자세히 모르는 분들이 많다는 것을 알기에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역사속의 독도의 기록>

1. 「삼국사기」에 신라시대 512년 지증왕 때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2. 「고려사」에는 조세를 징수했다는 기록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3. 「태종실록」에는 조선 최초 기록으로 공도 정책을 실시했다고 합니다.

4.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에는 울릉도와 독도가 강원도 울진현 소속으로 명시되어있습니다.

5. 「신증동국여지승람」 내 팔도총도에는 최초로 울릉도, 독도를 표기한 지도가 있습니다.

6. 숙종 때 안용복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 땅임을 일본으로 가서 확인을 ㅂ다고 돌아왔습니다.

7. 1900년에는 울도군 승격(대한 제국 칙령 41호)와 더불어 독도 관할을 했습니다.

8. 1904년 한일 의정서 이후 독도를 강탈 당하고 1905년 러일 전쟁 중 시마네현 고시를 통해 강제 편입을 했습니다.

9. 1906년 강원도 소속이였던 울릉도, 독도를 경상도로 편입시켰습니다.

10. 1952년 평화선 설정으로 독도를 대한민국 영토로 전 세계에 선언했습니다.

11. 2005년 3월 독도관리기준안 및 독도(동도) 개방을 시작하였습니다.


크게 보면 우리 역사 저 멀리서부터 울릉도와 독도를 관리했고 주민들이 있었다는 것을 알려드렸고 훨씬 더 많은 자료와 기록들이 대한민국의 영토임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러한 역사적 사실들을 알고 독도가 대한민국 영토임을 인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독도의 현재>

독도는 현재 경상북도 울릉군 울릉읍 독도리 1~96이 주소입니다. 관리는 국토교통부에서 관리하며 1982년에 문화재청이 천연기념물 336호로 지정했습니다. 독도는 크게 동도와 서도 두 섬으로 이루어져 있고 이외에 89개의 부속도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총면적은 187,554㎡(동도 73,297㎡, 서도 88,740㎡)입니다. 또한 울릉도의 동남향 87.4㎞에 위치합니다. 실제로 울릉도에서 맑은 날은 독도를 볼 수 있으며 반대로 독도에서도 울릉도가 육안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로인해 삼국시대부터 울릉도에 부속된 섬으로 인식되고 이용되어 왔습니다.


현재는 동도에 독도경비대가 365일 상주하고 있어 독도경비대 숙소, 헬기장이 있습니다. 또한 동도에 위치한 등대와 관리를 위해 독도관리사무소에 공무원들이 교대로 상주하고 있습니다. 서도에는 김성도씨 부부가 1991년 11월부터 거주하며 어로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실제 거주하지는 않지만 호적상 등재된 가구 및 인원은 149가구에 531명이 있습니다. 1956년 울릉경찰서 경찰관이 입도하였고 96년 해상경비와 독도경비대 보강차원에서 울릉경찰서 소속 독도경비대와 울릉도 경비를 전담하는 318 전경대를 통합하여 울릉경비대 예하에 독도경비대를 두고 경북지방경찰청장 책임 하에 1개 소대가 운용되고 있습니다. 


<독도의 지명>

고문헌 속에서 확인되는 독도의 명칭은 우산도(512), 삼봉도(1471), 가지도(1794), 석도(1900), 독도(1906) 등이 있습니다. 우산도는 가장 오랫 동안 독도를 부르던 명칭입니다. 「삼국사기」, 「고려사」, 「세종실록」, 「동국여지승람」 등의 옛 문헌에서 독도를 우산으로 기록한 것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조선 성종 때에는 삼봉도라 불렸으며 섬이 세 개의 봉우리로 보인다는 사실에서 유래한 것으로 「성종실록」에 기록되어 있습니다. 「정조실록」에는 "가지도에 가보니 가지어가 놀라 뛰어 나왔다"라는 기록에서 독도의 또 다른 이름인 가지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지어는 물개의 일종인 강치를 우리말 '가제'로 음역한 것으로 독도에는 강치가 많이 서식했습니다. 1900년 대한제국 칙령 제41호에는 울릉도의 관할 구역의 하나로 '석도'가 등장합니다. 석도란 독도를 말하는 것으로 '석'의 한글 표현이 '돌'이고 돌의 남해안 사투리인 '독'이 현재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행정지명으로서 '독도'는 1906년 울릉군수 심흥택에 의해서 처음 사용되었으며 현재는 '돌섬'이 '독섬'으로 발음되면서 '독도'로 표기가 되었고 지금은 울릉도 주민들은 '독섬'과 '돌섬'을 같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한편 일본에서는 명치시대 이전에는 독도를 마쓰시마 울릉도를 다케시마라 부르다가 1905년 영토편입 이후부터는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서양에서는 섬을 발견한 선박의 명칭을 따라 이름을 붙였고 1849년 프랑스의 포경선 리앙꾸르호는 '리앙꾸르 암(Liancourt Rock)으로 명명하였고 1885년 영국함선 호네트호 또한 '호네트 암(Hornet Rock)으로 명명하였습니다. 독도는 해저의 순상화산체로서 해수면 위로 노출된 화산섬입니다.


<독도의 경제지리>

수산업은 독도의 핵심 산업입니다. 독도의 근해는 북한한류와 동한난류가 교차하는 조경 수역으로 플랑크톤이 풍부해 좋은 어장입니다. 회유성 어족인 연어, 송어, 대구를 비롯해 명태, 꽁치, 오징어, 상어가 주종을 이루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강치(물개)가 많아 어부들에게 인기가 있었으나 지금은 포획 금지 대상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또한 해저암초에는 다시마, 미역, 해삼, 문어, 소라, 전복, 김 등의 해조류들이 풍성해 어민들의 주요 수입원이 되고 있습니다. 계절별로 겨울·봄(초봄)에는 명태어장이 형성되고 여름·가을에는 오징어 어장이 형성됩니다. 오징어의 주어기는 9월부터 1월입니다. 독도 주변의 어민들은 그들만의 공간을 인지하는 방향인식법이 있고 어장을 '걸' 또는 '짬'이라 부르는 독특한 문화가 있습니다. 독도는 섬 전체가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을 정도로 천혜의 절경을 자랑하며 관광자원이 풍부한 곳이어서 주상절리와 같은 화산지형을 볼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오징어 축제, 우산문화제, 울릉도·독도 탐사 해양축제 등 다양한 축제들이 울릉도와 독도에서 개최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반응형

프리미엄 러쉬 말이 필요없는 영화임에는 분명합니다


영화에 나온 자전거가 도대체 뭐지? 가격은 얼마나 되려나 궁금해서 찾아봤습니다.



먼저 자전거의 전체 모습입니다.


affinity 프레임 입니다. 프리미엄 러쉬 에디션으로 75만원에 팝니다




헤드셋입니다. CHRIS KING NOTHREADSET HEADSET 입니다. 19만원 입니다.



THOMSON ELITE 스템입니다. 13만원이네요 저렴하지는 않습니다.


허브입니다. 앞뒤로 각각 27만5천원, 38만원입니다. 가격이 ㅎㄷㄷ 합니다.


안장은 16만원으로 ARIONE에서는 저렴한 편에 속합니다.




fsa 체인링 10만원이네요


스기노 75 크랭크암 36만원입니다. 크랭크셋이 46만원이나 합니다.


니또 불혼바와 바테잎, 페달은 유사한 걸로 찾아봤고 각각 7만원, 2만원, 18만원입니다.


스템과 같은 제조사일걸로 추측해서 싯포스트는 9만5천원입니다.



마지막으로 림은 모두 무광 블랙 700C림 입니다. 각각 11만9천원, 8만9천원입니다.

총 가격이 2,910,000원으로 300만원 가량이 됩니다.

메신져들의 수입이 의심될 만한 상황인듯 합니다^^




2017/07/02 - 액션 범죄 스릴러 영화 추천 <프리미엄 러쉬> 리뷰


반응형
반응형



영화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이미 2007년부터 시작된 시리즈 영화입니다.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까지 5편의 시리즈가 되었고 처음 나온 <트랜스포머>는 벌써 10주년이나 되었습니다. 아무래도 첫 시리즈가 주는 충격적인 놀라움과 신선함은 조금씩 멀어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스토리 측면에서 지루하다는 평가들이 나오고 있기는 하지만 아직도 두터운 팬들을 보유하고 있고 찾아보게 되는 영화임에는 분명합니다.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는 오프닝부터 중세시대의 역사를 이야기하며 트랜스포머들이 이미 수 천 년전부터 지구에 와서 인간과 공존하였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영화 초반의 내용이 앞으로 이번 시리즈가 어떻게 전개 될 지에 대한 많은 부분들을 설명해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제목부터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이기도 하고 아서왕과 마법사 멀린 등의 이야기를 통해 혈통에 관해 새롭게 전개됩니다. 이렇게 시작되는 전개는 다른 시리즈들에 비해서 개인적으로는 마음에 들었습니다.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에서는 마크 월버그(케이드 예거 역)가 4편에 이어 여전히 주연을 맞았으며 여전히 샤이아 라보프의 이미지가 강하게 남지만 개인적으로 마크 월버그 자체를 좋아하기 때문에 나쁘지 않았습니다. 새롭게 안소니 홉킨스(에드먼드 버튼 역)가 나와 새로운 스토리를 이끌어 가는 게 무척 좋았습니다. 다만 로라 하드독(비비안 웸블리 역)의 경우에는 트랜스포머와 인간들의 역사는 단지 허구의 역사로 인식하고 있다가 뜬금없이 멀린의 후손임을 알게 되고 영화에서 매우 중요한 인물로서 캐릭터 설정이 되었지만 매우 아쉬움이 많았다고 느꼈습니다.  그리고 예고편에서 봤던 여자 아이는 이사벨라 모너(이자벨라 역)가 연기를 했는데 기대한 것보다는 비중이나 중요도가 너무 작았다는 생각이 많이 들었습니다.




이번 트랜스포머 시리즈에서 또 한 가지 기대했던 것은 옵티머스와 트랜스포머의 창조주 "쿠인테사"에 대한 기대가 있었습니다.  옵티머스를 간단하게 무력화 시키는 모습에서 창조주의 모습을 드러내기도 했지만... 영화를 보면 아시겠지만 어이없고 황당하게 꼴까닥(?)하게 됩니다. 이 부분에서 솔직히 "어이없네?"라는 생각은 저만 그럴 꺼 같지는 않습니다. 


<트랜스포머> 뿐만 아니라 이런 종류의 영화들의 특징은 "정의는 승리한다" 한국식으로 "권선징악"의 스토리는 당연하기는 하나 아무래도 시리즈 영화이기 때문에 그런 부분이 진부하고 지루하게 만드는게 아닐까라고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트랜스포머>가 처음부터 끝까지 CG영화임에는 당연합니다. 그래서 볼거리도 풍부하고 재미있었습니다. 또한 사이버트론 행성 관련해서 지구와의 이야기 등 보여지는 스케일 면에서도 역대급으로 커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트랜스포머> 시리즈가 이번이 마지막이 아님을 알려는 장면인데 "유니크론 죽이는 방법"을 알려준다는 여자가 나옵니다. 다음 <트랜스포머> 시리즈는 유니크론이 등장하면서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 나갈거를 기대하게 만들어줍니다.


마지막으로 이번 시리즈는 개인적으로 스케일도 그렇고 초반의 중세 시대의 모습으로 시작되는 부분이 좋았습니다. 그리고 다른 시리즈를 보지 않았어도 충분히 <트랜스포머: 최후의 기사>를 보는데는 문제가 될 만한 것이 없었습니다.



반응형

+ Recent posts